MATLAB 및 Simulink 세미나

저궤도 위성 및 항공우주 디지털 전환: AI 기반 모델 기반 설계와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소 시작일 종료일
대전컨벤션센터 204호, 205호 2025년 11월 20일, 14:00 KST 2025년 11월 20일, 16:50 KST

개요

저궤도 위성의 활용성이 커지고 다양한 서비스 및 활용방안이 모색되는 가운데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 또한 위성을 활용함으로써 점점 더 복잡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세계의 다양한 조직들은 기존의 시스템을 임무 기반으로 재평가하고 개선점을 찾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디지털 전환에 따른 디지털 트윈 모델의 개발을 요구 받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디지털 엔지니어링, 모델 기반 설계 및 시스템 엔지니어링이 이러한 디지털 전환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최신 MathWorks 솔루션으로 레이더 및 인공위성의 모델기반 설계 및 시스템 엔지니어링 적용 예, 다양한 플랫폼에 활용되는 전기 시스템을 AI기반으로 디지털 트윈 모델링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나아가 생성형 AI를 MATLAB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 드릴 예정입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하이라이트

  • 안테나, RF, 디지털신호처리를 통합한 레이더 시스템 개발
  • 임무 공학(Mission Engineering) 및 군집위성 모델링 및 엔지니어링
  • MATLAB/Simulink 환경에서 디지털 트윈을 이용한 고장 진단 알고리즘 개발
  • MATLAB에서의 생성형 AI 활용

행사 안내

본 세미나는 무료로 진행되는 오프라인 세미나입니다.
참석을 위해 사전등록이 반드시 필요하며, 사전등록은 회사 또는 학교 계정으로 진행해주시기 바랍니다.
세미나 관련 문의: 매스웍스코리아 마케팅팀

발표자 소개

  • 세션 1, 4: 한승구 Application Engineer는 레이더 신호처리 분야 박사 후, 8년간 삼성전자에서 5G 기지국 안테나 개발, 채널 분석 SW개발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매스웍스코리아에서 안테나, 레이더 관련 분야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 세션 2: 서기환 Application Engineer는 ㈜넥스윌에서 약 5년간 전자전 관련 통신 및 무선시스템 개발을 수행하였으며, 매스웍스코리아에서 신호처리 및 통신시스템 관련 분야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 세션 3: 강효석 Application Engineer는 지능 제어 설계에 대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매스웍스코리아에서 제어 시스템 설계 및 물리 모델링과 전동화 분야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아젠다

시간 세션제목

14:00 – 14:10

세미나 안내

14:10 – 14:40

 

 

[세션 1] 모델 기반 설계(Model-Based Design)를 활용한 레이더 시스템 개발 및 검증

본 세션에서는 레이더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반복적인 설계 비용을 줄이기 위한 안테나 배열 및 RF 프론트엔드 설계 기법을 다룹니다. 송수신 모듈과 안테나 설계·시뮬레이션을 통해 시스템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노이즈·임피던스 불일치·비선형성 등 RF 손상 요소를 모델에 반영해 성능 저하를 예측하고 보정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또한 지능형 빔포밍을 통한 간섭 억제, 실측 데이터 기반 모델 정확도 향상, 대규모 배열 분석 등 실제 개발에 유용한 활용 사례를 소개합니다.

  • 안테나 배열 및 RF 프론트엔드 설계 기법을 통한 성능 최적화와 비용 절감
  • 시스템 수준 모델로 노이즈, 비선형성 등 RF 손상 요소 사전 분석
  • 배열 최적화·지능형 빔포밍으로 간섭 억제 및 탐지 성능 향상
  • 데이터시트·실측 기반 모델링으로 프로토타입 전 성능 평가 및 개선

14:40 – 15:10

[세션 2] 임무공학을 위한 위성 군집 모델링 및 디지털 엔지니어링

임무 공학(Mission Engineering)은 항공우주·방위 분야에서 임무 목표의 달성 가능성을 시스템 설계 단계부터 운용 환경, 규제 준수, 성능 시뮬레이션까지 통합적으로 분석, 검증하는 공학 방법론을 의미합니다. 이 접근법은 임무 목표 설정, 운용 시나리오 분석,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환경 효과 및 위험 요인 평가 등 임무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소를 종합적으로 모델링하고 최적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위성 군집을 모델링하고 임무공학을 적용하여 위성 가용성 및 커버리지를 평가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임무 공학
  • 위성 군집 모델링
  • 위성 가용성, 커버리지 및 통신링크 분석

15:10 – 15:20

Q&A (세션 1 & 2)

15:20 – 15:35

휴식

15:35 – 16:05

 

[세션 3] 디지털 트윈 기반 모델링 전략

본 세션에서는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에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모델링 전략을 소개합니다. 디지털 트윈은 실제 시스템의 물리적, 데이터 기반, 또는 하이브리드 모델을 통해 자산의 현재 및 미래 상태를 시뮬레이션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술로, 복잡한 시스템의 운영 효율 향상, 고장 예측, 설계 피드백, 사이버 보안 강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 디지털 트윈 모델링을 위한 모델링 전략(물리 기반 모델링, 데이터 기반 모델링, 하이브리드 모델링)
  • 예측 유지보수(PHM) 워크플로우 및 시뮬레이션 기반 센서 데이터 생성
  • Simulink 및 Simscape를 활용한 시스템 모델링 및 튜닝
  • 알고리즘 개발, 테스트, 배포 자동화 및 실시간 데이터 기반 업데이트

16:05 – 16:35

[세션 4] 생성형 AI를 사용한 MATLAB 워크플로우: 코드 생성 및 요구 사항 분석

생성형 AI는 이미 우리 업무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번 세션에서는 MATLAB Copilot을 이용한 다양한 활용 사례를 소개합니다. 또한 인터넷 연결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한 Local LLM(Local Large Language Models)을 MATLAB 워크플로우에 적용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자동 코드 생성 및 요구사항 분석 예제를 통해 업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 MATLAB Copilot을 이용한 코드 생성
  • Local LLM을 이용한 ChatBot 만들기
  • Local LLM을 이용한 자연어 기반 요구사항 분석

16:35– 16:45

Q&A (세션 3 & 4)

16:45 – 16:50

마무리

관련 제품

저궤도 위성 및 항공우주 디지털 전환: AI 기반 모델 기반 설계와 시스템 엔지니어링

MathWorks 계정에 이미 로그인되어 있습니다. "제출" 버튼을 눌러 양식 작성을 완료하십시오.